솔고개 농가주택 겨울풍경 - 큰사진보기!
                     [사진]충북 단양군 솔고개마을 농가주택 겨울풍경 - 900x602


지윤이와 옥이^^
집이란 무엇인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을 집이라 부른다. 인류가 진화해 오면서 집의 형태도 개념도 많이 바뀌어가고 있지만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이라는 명제는 변함이 없다. 온갖 건축재로 지어진 집이라 할지라도 공간위에 지붕을 덮은 형태는 21세기 건축에도 변함없이 적용되고 있다.

그 집에 대한 생각을 솔고개 마을 농가주택(農家住宅)을 바라보면서 여러 가지 삶의 단상들이 떠오르곤 한다. 1950년대 초반에 지어진 중부지역 민가주택(民家住宅)의 특색을 이어온 본채와 세월이 흘러서 가족 구성원의 변화에 따른 공간 확장의 필요에 의하여 콘테이너 박스에 지붕을 올린 사랑채와 좀 더 편리한 주거공간을 위하여 외양간을 헐고 그 자리에 형제자매가 힘을 모아 손수 신축한 비닐 로그사이딩이 특징인 별채로 구성된 솔고개마을 농가주택은 삶의 패턴에 따른 주거공간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농가주택이다.

그 집을 바라보면 정겨움이 떠오른다. 옹기종기 모여서 특색 있는 집으로 가꾸어진 저 집에서 올 설날에는 무슨 이야기꽃이 피어났을까? 그래서 집은 사람의 삶속에서 다듬어지고 가꾸어지는 집들이 따뜻함을 내포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많은 돈을 들여서 지은 남한강 주변의 별장들은 결코 가질 수 없는 삶의 흔적이 쌓아놓은 그 정겨움의 역사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듯이 좋은 집은 하루아침에 만들어 지지 않는다.

또 다른 이야기로 넘어간다. 대한민국 상위1퍼센트의 부자들은 아주 값비싼 첨단 건축재와 공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집들을 많이 만들어 내야 한다. 그들이 만들지 않으면 21세기 우리시대의 주거건축 미학이 만들어 질 수 없다. 돈에 상관없이 건축기술의 정수를 만들 수 있는 토양을 1퍼센트의 부자들은 건축가에게 만들어줄 의무가 있다. 그런 측면에서 대한민국 주거건축(住居建築)의 정점에 있을 삼성의 대주주인 이건희 회장이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에 지었다는 주택은 공개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돈 많은 극소수의 사람들이 첨단 건축설비와 주거환경을 갖춘 집을 어떻게 만들고 생활하는지 알아야 현재 조립식주택과 목조주택 등을 짓고 사는 사람들이 그 주택의 단점은 버리고 장점을 수용하여  그들도 21세기 첨단 건축의 공간에서 살아볼 희망을 이야기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우리시대를 대표할 주거건축이라 말 할 수 있는 주택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앞서가는 서구의 잘나가는 건축가의 철학의 모방은 있어도 치열한 공부 끝에 우리의 역사와 자연과 조화되는 삶에 철학과 패턴이 반영된 집들은 우리시대의 건축가(建築家)들은 짓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팔작지붕에 공포를 올린 한옥(韓屋)을 짓는다거나 변형을 하라는 소리는 결코 아니다. 꼭 그렇게 해야 전통주택이니 우리의 문화가 깃들어 있다고 우기는 건축가나 사람들이 있기에 덤으로 하는 소리이다^^. 그래도  솔고개 마을에 우리시대 주거건축의 전형은 아니더라도 정겨움이 가득한 좋은 집이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__*


솔고개 마을 홈으로 가기^^

덧붙이는 글^^ : 돈 많은 사람들이 호화주택이나 경치 좋은 곳에 별장을 짓는다고 째려보거나 막 뭐라고 그래서는 안 됩니다. 정말 멋진 좋은 집^^을 짓는 건축주는 비난과 경멸 보다는 칭찬과 또 하나 건축하라고 응원해 주던지 해야 건축문화의 다양성을 감상 할 수 있는 기회가 덤으로 찾아 올 수 있습니다. ^^ 건축은 단순한 집 이상의 가치를 지닌 흘러가는 역사와 함께 하는 우리들의 소중한 문화입니다. 21세기 이 땅에 사람들은 어떤 주거문화를 만들고 가꾸어 왔는지 100년 후에 후손들이 물어 온다면 지금으로서는 별 다른 할 말이 없음을 한 번쯤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파이팅! 대한민국 생활건축 현장의 건축인들!

트랙백 주소 :: http://sebong.co.kr/trackback/1153

댓글을 달아 주세요